로고타입
- 작성일 2025-02-20
- 조회수 1,940
지난해‘저출생 극복’철도 할인 40만명이 혜택 받았다 코레일, ‘다자녀 할인’, ‘맘편한 코레일’ 이용객 역대 최대…‘23년 대비 두 배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저출생․인구감소를 극복하기 위한 정부 정책에 발맞춰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할인 제도를 통해 지난해만 40만 명에 달하는 국민이 혜택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코레일의 ‘저출생 극복’ 대표 상품으로는 ‘다자녀 할인’과 ‘맘편한 코레일’이 있다. 먼저, 자녀가 많은 가족이 함께 KTX를 이용할 때 운임 할인을 지원하는 ‘다자녀 할인’은 지난해 이용객이 20만 7천여 명으로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운 9만 4천여 명이 늘었다. 이는 2015년 할인 제도 도입 이후, △자녀 연령 상향(18→25세) 조정 △자녀 수(3→2명) 완화 △자녀 3명 이상의 경우 어른운임 할인율 확대(30→50%) 등 지원 대상을 지속적으로 넓혀온 결과다. * 자녀가 2명인 가족은 기존대로 어른운임 30% 할인 * 어른은 13세 이상, 자녀가 유아․어린이인 경우는 각각 해당 연령별 할인 적용 이와 함께 임산부에게 열차 운임을 40% 할인하는 ‘맘편한 코레일’ 이용객도 도입 이후 10년 만에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3년 8만 3천여 명에서 지난해 19만 6천여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 할인 적용 기간은 임신확인서에 기재된 출산예정일로부터 1년을 더한 날까지 지난해 기존 KTX 특실 좌석을 일반실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업그레이드 혜택을 포함해, 임산부와 동반인 1명이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열차의 일반실 운임까지 40% 할인받을 수 있도록 확대하면서 이용자가 하루 평균 300명에서 1,254명으로 4배 이상 늘었다. 코레일은 올 하반기 KTX와 일반열차 등에 임산부를 위한 지정 좌석제를 신규 도입할 예정이다. 특정 시점까지 임산부만 구매할 수 있게 하는 할인 좌석으로, 주말 등 열차 수요가 높은 시간대에도 좌석 예매 부담을 덜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두 할인제도의 이용 실적 증가는 열차 좌석이 필요한 가족, 임산부 등 수혜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고자 지원 대상과 할인율을 확대한 결과로 보여진다. ‘다자녀 행복’과 ‘맘편한 코레일’은 정부24 홈페이지(www.gov.kr)의 원스톱서비스 메뉴에서 편리하게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다만, 온라인 이용이 어려운 경우 전국 행정복지센터(다자녀 행복의 경우)나 역 창구에서 등록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코레일 홈페이지(www.letskorail.com) 또는 고객센터(1588-778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앞으로도 임산부, 다자녀 가족에 대한 열차 이용 혜택을 지속적으로 늘리면서 정부 및 유관기관과도 적극 협력해 저출생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파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