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함께 떠나요(코레일체험) > 역방문기념스탬프 > 경부선
기념 고무인은 도착역뿐만 아니라 출발역, 갈아타는 역 등 기념고무인이 비치된 역에서는 열차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역명 | 디자인 | 상징물 | 상징물의 의미 |
---|---|---|---|
대구 | ![]() |
근대路의여행 | 독특한 역사와 문화가 있는 대구역 인근 "대구 중구 근대路의 여행"은 제1코스(경상감영길)를 시작으로 5개의 코스와 테마투어로 이루어져 있어 대구를 찾는 여행객들에게 근대역사의 추억을 되새기도록 하고 있다. |
울산 | ![]() |
반구대 암각화 | A자 모양으로 꺾인 바위면에 200여점의 인물상과 동물상 등이 새겨져 있는 암각화로 공업도시 울산의 문화유산을 대표하고 있다. |
오송 | ![]() |
KTX, 소나무 | 과거 우리 조상들은 자연의 이치를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통해 찾으려 했다. 우주 만물은 음양의 조화에 의하여 생성하는 것이며 그 변화는 木, 火, 土, 金, 水 5원소의 상생에 따라 순환된다고 보았다. 신라말 최치원이 난세에 절망하여 각처를 유람하다가 이곳에 머물며 후학을 가르쳤는데, 오행설에 심취하여 다섯 그루의 소나무를 심었다 하여 『오송리』(五松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 유래를 살려 다섯 개의 가지가 달린 소나무와 고속열차를 오송역의 상징으로 삼았다. |
용산 | ![]() |
용과 KTX | 용산역은 서울역과 함께 서울의 주요 철도역으로 호남선과 전라선 KTX의 시종착역이다. 용산은 도성(都城) 서쪽 모악(母嶽)의 남쪽으로 뻗어나간 산줄기가 만리현(지금의 만리동)을 지나서 한강변을 향하여 꾸불꾸불 나아간 모양이 마치 용(龍)이 몸을 틀어나간 것 같고, 강변(지금의 용산구와 마포구의 경계선)에서는 머리를 든 용의 형상 같다고 하여 얻어진 이름이며, 또한 삼국시대 백제 때 두 마리의 용이 나타났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임. |
평택 | ![]() |
서해대교 | 서해안 시대 서해대교를 통해 철도와 연계, 국가 물동량의 수송을 원활하게 해주어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광명 | ![]() |
KTX와 광명역사 | KTX개통(2004. 4. 1.)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광명역은 약 8만평의 대지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역으로, 수도권서남부 지역 교통의 중심이다. |
김천구미 | ![]() |
KTX역사 상모돌리기 |
김천시의 혁신도시 건설부지에 위치한 신역사, 육상교통의 총아인 KTX, 전통 농악의 상모돌리기를 함께 도안하여 '전통과 미래가 함께 숨쉬는 곳'을 표현하였음. |
서울 | ![]() |
구 서울역사 | 1925년 10월 15일 준공된 구 서울역사는 근세 개화기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사적 284호의 역사성과 건물자체의 예술성을 담은 한국철도의 상징적인 건물이다. |
노량진 | ![]() |
철도시발지비 | 철도시발지비는 1899년 9월 18일 노량진-인천역 간 한국철도의 효시인 경인철도가 첫 운행을 시작한 것을 기념하여 1975년 건립한 기념비로, 노량진역에서 한강철교 방향으로 5~10분거리 철길 옆에 세워져 있다. |
영등포 | ![]() |
국회의사당 | 의회민주주의 상징인 국회의사당은 1975년 8월에 준공된 건물로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위치하고 있다. |
수원 | ![]() |
철쭉과 새마을호 | 4월에 꽃 피웠다가 5월에 지는 철쭉은 그윽한 향기와 은은한 매력을 발산하는 꽃으로 수원시화로 지정되어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
천안 | ![]() |
독립기념관 | 1987년 8월 15일 민족정신과 국가관 정립을 목적으로 세운 독립기념관은 천안시 목천면에 위치하고 있다. |
천안아산 | ![]() |
두루미 비상(飛上) | 대지를 박차고 창공으로 날아오르는 길조 두루미의 비상(飛上)을 건축물로 형상화하여, 우아하고 산뜻한 현대적 감각의 승강장과 아름다운 아치형의 건물 외부 구조를 표현하였다. |
조치원 | ![]() |
복숭아꽃과 제비 | 조치원역이 자리잡고 있는 충북 연기군의 군화(郡花)인 복숭화꽃과 군조(郡鳥)인 제비를 형상화했다. |
신탄진 | ![]() |
연초 | 신탄진은 예로부터 전국에서 생산되는 연초를 집산하는 곳으로 연초제조창이 자리잡고 있어 오늘의 신탄진을 대표하고 있다. |
대전 | ![]() |
꿈돌이 | 1993년 대전에서 엑스포가 열려 문화도시로서 위상을 세계에 알렸으며 꿈돌이는 대전엑스포의 마스코트로서 홍보를 담당하였다. |
영동 | ![]() |
감, 새마을호 | 영동은 감나무를 가로수로 심을 정도로 감이 많이 생산되는 곳이며, 이곳 감은 껍질이 얇고 당도가 높아 전국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고 있다. |
김천 | ![]() |
직지사 | 신라 눌지왕 때 아도화상이 창건했다는 김천 직지사는 지을 당시 자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측량하여 지었다고 하여 직지사(直指寺)라는 이름이 붙었다. |
구미 | ![]() |
금오산 도립공원 | 구미시에 있는 금오산은 영남팔경의 하나로 해발 976m이며 각종 유적이 많고 기암괴석과 수림으로 절경을 이루어 구미 관광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
동대구 | ![]() |
팔공산갓바위 | 대구 팔공산 갓바위는 해발 850m의 관음봉 정상에 거대한 돌을 깎아 만든 미륵불로, 많은 시민들이 이곳에서 소원을 빌고 있다. |
청도 | ![]() |
소싸움 | 경부선 철도와 25번 국도가 중앙부를 남북으로 나란히 지나가는 청도는 '소싸움'축제를 육성하여 많은 관광객을 끌고 있다. |
상동 | ![]() |
빈지소 |
운문산에서부터 흐르는 강물과 빈지소의 휴양지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곳이다 |
신경주 | ![]() |
첨성대, KTX-산천 |
신경주역은 2010년 11월 1일부터 영업개시를 하였으며, 경주의 상징인 '첨성대', 순수 국내기술로 만든 KTX-산천, 한옥의 곡선 및 불국사 회랑의 이미지로 만든 '신경주역사 지붕'을 상징화 하였다. 또한 초승달 모양은 지구를 상징하며 세계로의 진출 염원을 담았다. |
밀양 | ![]() |
밀양아리랑 | 밀양은 밀양아리랑의 본고장으로, 밀양아리랑을 부르는 흥겨운 농악대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
삼랑진 | ![]() |
급수탑 |
삼랑진역 구내에 있는 급수탑은 1923년에 세워졌으며 등록문화재 제51호로 지정돼 있다. |
원동 | ![]() |
매화꽃 |
이른 봄 원동역 주변에 흐드러지게 핀 매화꽃을 배경으로 한 많은 철도사진이 발표되면서 원동역은 작품사진을 찍는 장소로 유명해졌다. |
물금 | ![]() |
양산타워 |
양산팔경의 하나인 양산타워를 형상화했다. |
화명 | ![]() |
대천천 |
금정산 깊은 곳에서 발원하여 맑고 깨끗하게 흐르는 대천천은 하계 휴양지로 유명하다. |
사상 | ![]() |
사상역사 |
서부경남으로 이어주는 교통의 요충지인 사상을 형상화함 |
구포 | ![]() |
철새도래지 | 부산의 북쪽에 자리잡은 구포는 낙동강에 인접하여 철새들로 장관을 이루는 철새의 낙원이다. |
부산진 | ![]() |
컨테이너 | 수출입 물량을 가장 많이 취급하는 부산진역은 컨테이너 야적장 확장 및 게이트의 자동화가 이루어져 철도컨테이너 수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부산 | ![]() |
부산타워 | 우리나라 최대의 항구 도시인 부산 시내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부산타워는 용두산공원에 자리잡고 있으며 부산 시민들이 즐겨 찾는 명소다. |
경산 | ![]() |
경산역사,삽살개 | 2011년 신축한 역사를 배경으로 자리를 잡고 있는 경산지역의 상징 삽살개가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경산을 잘 말해주고 있다. |
왜관 | ![]() |
호국의다리(왜관철교) | 지역을 대표하는 왜관철교는 6.25전쟁의 역사가 함축된 상징물로서 나라를 구했다는 의미로 호국의 다리로 불리며, 과거 끊어진 다리는 복원되어 현재 인도교로 지역주민의 품속으로 돌아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