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함께 떠나요(코레일체험) > 역방문기념스탬프 > 중앙선
기념 고무인은 도착역뿐만 아니라 출발역, 갈아타는 역 등 기념고무인이 비치된 역에서는 열차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역명 | 디자인 | 상징물 | 상징물의 의미 |
---|---|---|---|
서경주 | ![]() |
화랑, 원화와 안압지 | 경주세계문화엑스포 마스코트인 '화랑과 원화', 통일신라시대 때 궁중연못인 안압지를 형상화하였다. |
의성 | ![]() |
의성마늘 의동이와 탑리오층석탑 | 의성은 전국 최고의 한지마늘 유명하다. 조상대대로 재배되어온 토종마늘은 즙액이 많고 입안에서 독특한 향기와 매운맛이 감돌아 저장성이 강하며 전국 농산물 시장에서 인기가 높다. 국보 제77호인 탑리 오층석탑은 화강암으로 조성되었으며 전탑의 수법을 모방한 목조건물 양식의 문화재이다. |
화본 | ![]() |
급수탑 | 1936년대에 지어진 화본역 급수탑은 1967년까지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으며 화본역을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
청량리 | ![]() |
전기기관차 | 청량리역은 국가발전을 이끌어온 산업선철도의 시발지로서 강력한 견인력을 지닌 전기기관차가 산악지대의 원활한 물자수송을 담당하고 있다. |
양평 | ![]() |
은행잎 | 양평군에 있는 동양최대의 용문산은행나무는 천연기념물 30호로 지정, 보호받고 있으며 양평을 대표하고 있다. |
용문 | ![]() |
용문사와 은행나무 | 용문역에서 가까운 용문사는 정지국사부도 및 비, 윤장대 등 많은 보물로 유명하며 천연기념물 30호로 지정된 동양최대의 은행나무가 있는 곳이다. |
간현 | ![]() |
국민관광지 | 간현은 강과 산이 어우러진 천혜의 관광자원을 가진 곳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
원주 | ![]() |
꿩 | 원주시의 상징인 꿩을 의인화하여 살기 좋은 원주, 도약하는 원주시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
제천 | ![]() |
박다리와 금봉이 | 제천의 명소인 박달재고개의 박달도령과 금봉낭자의 슬픈 이야기를 담은 캐릭터 '박다리와 금봉이'는 제천을 널리 알리는데 사용되고 있다. |
도담 | ![]() |
화물열차 | 철도화물 최고 취급역으로 일 평균 530량, 27,000여톤의 양회를 산업선 수송의 주역인 전기기관차가 수송하고 있다. |
단양 | ![]() |
도담삼봉 | 도담삼봉, 석문, 구담봉, 옥순봉,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 사인암의 단양 8경 중 도담삼봉은 단양 8경의 상징적인 존재로 3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
소백산 | ![]() |
희방폭포 | 희방폭포는 주목군락지와 함께 많은 등산객을 소백산으로 유인하는 대표적인 명소로, 이곳을 방문하는 많은 고객이 희방사역을 이용하고 있다. |
풍기 | ![]() |
풍기인삼 | 소백산록의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에서 생산되는 풍기인삼은 타 지방인삼보다 내용조직이 충실하고 향이 강하며 유효사포닌함량이 높은 대표적 농산물이다. |
영주 | ![]() |
부석사 무량수전 | 영주의 대표적 고건축물인 부석사무량수전은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목조건축물로 국보 18호이다. |
안동 | ![]() |
하회탈 | 국가지정 민속마을인 안동하회마을의 양진당과 별신굿놀이에 사용되어온 하회탈은 안동의 문화유산을 상징하는 조각품이다. |
영천 | ![]() |
제3사관학교 | 제 3사관학교는 삼국통일의 주역인 화랑들이 호연지기를 기르던 영천에 자리하며 초급장교들을 양성하고있다 |
경주 | ![]() |
석가탑 | 경주불국사 경내에 자리한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석탑으로 국보 제 21호로 지정되어있으며 동쪽 다보탑과 함께 안정된 느낌과 아름다운 비례를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