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타입
사전정보공표란
국민의 국정참여 및 알권리 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에 대해서는 공개의 구체적 범위, 공개의 주기·시기 및 방법 등을 미리 정하여 정보통신망 또는 간행물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국민에게 공개하여야 함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제7조)
자료게시 상세
- 등록일 2022-08-30
- 담당부서 기술안전연구처
- 연락처 0426154708
- 조회수 3227
-
제목
전기동차 대차 윤중편차 현황 및 유지보수 상관관계
-
발간일
2018.01.18
-
저자
김승곤
-
내용
1. 과제개요
○ 과제유형 : 수시연구(자체) / 연구책임자 융합기술연구처 김승곤 과장
○ 연구기간 / 소요예산 : 2016. 03. 02. ~ 2017. 04. 28 (14개월) / 20,300천원
2. 연구목적
○ 전동차 탈선과 관련하여 운용중인 차량의 윤중비 현황 측정 등 윤중편차로 인한 탈선사고 방지 검토
3. 연구내용
○ 국내외 전기동차 윤중편차 관련자료 조사
○ 운영 전기동차 윤중편차 현황조사
○ 전기동차 윤중편차 관리방안 조사
4. 연구결과
○ 추정탈선계수에 의한 수치해석 결과 여러 가지 시나리오별로 검토시 윤중감소율에 따른 민감도는 변화가 있고 통과속도에 따른 변화도는 있지만 추정탈선계수는 거의 일정함을 알 수 있다.
○ 전산수치해석을 통하여 윤중편차 원인으로 작용하는 1차 및 2차 현가장치의 중심 불일치 확인을 하였고 차륜과 레일의 접촉위치영향에 따라 윤중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 정지윤중비의 편차를 계산을 통해서 하였을 때 조건은 1량에 대한 기준이고 2량이 넘어가게 되면 정지 윤중비 편차 ?20%에 대한 주치는 변할 수 있고 철도차량안전기술의 권고사항 0.5는 1량기준시 초과함을 확인 하였다.
○ 정지윤중비는 일본의 경우 약 10%정도로 노력 목표를 하고 있음
○ 윤중측정 결과 대부분 신조차량기준 4%, 5%를 초과하고 있으며, 해외기준 10% 역시 상향함을 확인 함
5. 기대효과
○ 신조차량을 기준으로 운용차량 적용은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움 확인
○ 윤중편차 확인을 통한 국내환경에 맞는 정지윤중비 검토 필요
6. 활용계획
○ 현재의 유지보수 방법 적용 및 향후 국가 R&D를 통한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