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로고타입

2017년까지 초대형 수송력(열차당 1,404석) 갖춘 ‘한국형 2층 고속열차’ 원천기술 개발한다
  • 작성일 2016-11-16
  • 조회수 2,597
뉴스·홍보_보도자료 상세보기 – 내용, 파일, 담당자 연락처로 구성


 배포일시|2016.11.11.(금)
 배포부서|홍보실(042-615-3126)
 담당부서|고속차량도입처
 담 당 자|처장 류영수(042-615-5700) 부장 황상주(5701)



2017년까지 초대형 수송력(열차당 1,404석) 갖춘

‘한국형 2층 고속열차’ 원천기술 개발한다
현대로템-철도연-코레일 3자간 2층 고속열차 R&D 협약 체결



□ 현대로템㈜·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코레일은 11일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한국형 2층 고속열차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그동안 국내에는 2층 고속열차의 제작 기술이 없었고, 해외에서도 기술유출을 우려해 구입할 방법이 없었지만,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도입 가능성이 열리게 되었다.


□ 2층 고속열차의 장점은 ‘좌석 공급량’이다. 2층 고속열차는 1개 열차당 좌석 공급량이 기존 KTX-산천 대비

약 4배(363→1,404석) 향상되며, KTX-1 보다도 50% 이상(931→1,404석) 늘어 한 번에 최대 1,400명 이

상 수송할 수 있다.


한 대의 열차가 국내선 항공기(A380-300 기준 276석) 5대, 우등 고속버스(28석) 50대와 동등한 수송력을

보유한 셈이다.


공급량 기준으로 단순 비교하면 2층 고속열차 운행 시 128개 열차(중련 열차 기준)만으로 현재의 KTX 269개

열차와 동일한 좌석 공급이 가능한 수준으로, 선로용량 한계 극복 및 만성적인 좌석부족 현상 해소가 가능해진다.


* 2016년 상반기 일평균 좌석공급량 18만석 ÷ 1,404석 = 128개 열차


□ 이번 공동연구가 완료되면, 대한민국은 독자적인 300km/h급 2층 고속열차 기술을 보유하게 되어, 해외

철도시장 진출의 활로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300km/h급 2층 고속열차는 현재 프랑스의 TGV-Duplex가 유럽에서 독점적 체계를 구축한 상황으로, 수송력·

에너지 효율성 등 장점이 많아 철도 수요가 많은 유럽에서는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특히, 국내 기술로 2층 고속열차를 개발하게 되면 해외 철도시장에서 프랑스·중국·일본 등 경쟁국과의 수주 경

쟁에서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어 국가 경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현대로템, 철도연, 코레일 3개 기관은 시험용 차량 2량을 우선 제작하여 17년 말까지 시운전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차량제작사인 현대로템은 시험차량의 설계와 제작을, 철도연은 시험계측과 주행안전성 등의 평가, 코레일은

시험차량을 시운전하는 등 각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공동연구는 약 1년 내에 상용화 수준까지 차량 제작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며, 기술개발 완료 시 약 60개월

의 제작기간을 거쳐 오는 2023년에는 2층 고속열차가 운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 한국형 2층 고속열차 콘셉트 디자인


파일
hwp 문서 161111 [보도자료] 2017년까지 초대형 수송력(열차당 1,404석) 갖춘‘한국형 2층 고속열차’ 원천기술 개발한다.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공공누리 마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주십시오.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관리부서언론홍보처
  • 담당자이지윤
  • 전화번호042-615-3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