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로고타입

故김재현 기관사 호국정신, 외손자로 이어져
  • 작성일 2011-12-29
  • 조회수 2,043
뉴스·홍보_보도자료 상세보기 – 내용, 파일, 담당자 연락처로 구성

故김재현 기관사 호국정신, 외손자로 이어져


6.25당시 戰死한 김재현 기관사 외손자 홍성표 氏,


철도기관사 자격 얻어



 


코레일은 6.25전쟁 당시 미군 사단장 구출작전에서 전사한 김재현 기관사의 외손자인 홍성표 씨가 철도기관사 자격을 얻었다고 밝힘.


 


○ 故김재현 기관사는 철도인의 신분으로 한국전쟁 당시 살아 돌아올 확률이 거의 없는 ‘딘 소장(미 24사단장) 구출 열차작전’에 자진 참가하여, 미군 특공대를 열차에 태우고 적진에 들어가 임무를 수행하던 중 가슴에 관통상을 입고 28세의 젊은 나이로 숨진 6.25 참전 철도전사자임.



철도직원들은 고인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자 1962년 고인이 숨진 장소(경부선 대전-세천역 사이, 서울역 기점 171.8km)에 순직비를 건립하고 매년 현충일에 참배하며 고인의 넋을 기리고 있음.



□ 故김재현 기관사의 외손자인 홍성표 씨는 지난 2005년 입사 이후 선로보수용 장비차량을 검수하며 선로의 상태를 점검하고 보수해왔고, 이번에 철도기관사 자격을 얻게 되면서 비로소 외할아버지의 뒤를 잇겠다는 꿈에 더욱 다가갈 수 있게 됐음.


 


○ “6.25전쟁 때 기차를 몰고 사선을 넘나들다 흉탄에 돌아가신 외할아버지의 호 키겠습니다.” 철도영응 故김재현기관사의 외손자 홍성표 씨가 2005년 코레일에 입사하며 밝힌 포부임.


 


홍성표 씨의 아버지(1998년 작고)와 어머니(김제권, 65세)도 젊은 시절을 철도에서 보냈으며 외삼촌(김제근, 63세) 역시 역무원으로 근무했기에 홍성표 씨 가족은 3대가 계속 철길을 따라 걸어온 셈임.


 


○ 그는 “어릴 적 선생님이 6.25전쟁 이야기를 꺼내면서 외할아버지 얘기를 하시기에, ‘우리 외할아버지’라고 말하니 깜짝 놀라시더라.”라며 “외할아버지에 대한 자부심과 철도인으로서의 사명감을 갖고 안전한 철도를 만드는 데 평생을 바칠 것이고 지금 6살인 아들이 뒤를 이어 또 철도인이 되겠다고 하면 적극 밀어줄 생각이다.”라고 말함.


 


○ 또한 “지금 순직비는 외부와 차단돼 있어 일반 사람은 누구도 볼 수 없다.”고 아쉬워하면서 “대전역 광장에 순직비를 하나 더 세워 지나다니는 시민들이 6.25전쟁 때 군인과 경찰뿐만 아니라 철도인들도 나라를 지키려다 많이 희생됐다는 사실을 기억할 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다.”고 덧붙임.


 


□ 한편, 故김재현 기관사는 1983년에는 국가로부터 공적을 인정받아 철도인으로는 최초로 국립묘지(영관급 장교묘역)에 안장됐으며, 지난 10월 1일엔 국방부로부터 ‘건국 제 63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 정식 초청받아 유족이 참석했음. 현재 국방부는 고인의 정부 포상을 검토 중임.


 


○ 국방군사연구소 자료에 의하면 한국전쟁 당시 철도직원의 2/3인 약 1만9300명이 개전과 함께 교통부 산하 전시군사수송본부에 배속되어 군사수송지휘관의 지휘 아래 병력과 군수물자, 피난민을 수송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 중 287명이 전사함.

파일
공공누리 마크(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주십시오.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관리부서언론홍보처
  • 전화번호042-615-3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