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타입
재해대책본부 운영
(연중 상시)
주요임무
기상상태 파악 및 사전예측을 통한 선제적 상황관리
- 재난발생이 우려되거나 이례사항 발생 시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하여 국민의 안전 확보
- 집중호우 ·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철도구조물의 피해를 선제적으로 대비
운영 기간
연중상시(기상특보 발령 시 근무 시행)
- 해빙기 : 매년 3월 16일부터 5월 14일(2개월)
- 여름철 : 매년 5월 15일부터 10월 15일(5개월)
- 가을철 : 매년 10월 16일부터 11월 30일(1.5개월)
- 겨울철 : 매년 12월 1일부터 다음 년도 3월 15일(3.5개월)
재해대책본부 업무흐름도

1.국토교통부(철도상황반)와 철도공사 재해대책본부(열차운행통제), 유관기관(지자체, 경찰서, 소방서 등)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피해액 및 복구액 확정) 에 피해발생 보고를 한다. 2.재해현장 [현장지휘소](시설, 전기, 차량) 에서 인접역 및 사업소 (시설, 전기, 차량) 가 지역본부 재해대책본부 에 정시, 지역본부 재해대책본부는 철도공사 재해대책본부(열차운행통제)에 피해발생 보고, 철도공사 재해대책본부(열차운행통제)는 국토교통부(철도상황반)에 피해발생 보고를 한다. 3.지역본부 재해대책본부는 국토교통부(철도상황반)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피해액 및 복구액 확정)에 '필요시' 4.지역본부 재해대책본부는 장비동원 및 긴급복구 건설업체에 '필요시 긴급복구지원요청', 유관기관 (지자체, 경찰서, 소방서 등)에 '협조요청 및 피해발생 보고' 5.재해현장 [현장지휘소](시설, 전기, 차량)는 철도공사 재해대책본부 (열차운행통제)에 비상시 운행통제권한 (발견자)
재해예방시설 확충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 지진 등 자연재해로부터 철도시설물을 보호하고 여객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연차별 계획에 의거 재해예방시설 확충 추진
- 통수단면 부족 및 병목화된 교량 확장
- 교각기초 세굴 및 하상세굴개소 교량 기초보강
- 상습침수, 궤도매몰, 둑붕괴 우려개소에 배수로 및 옹벽설치
- 낙석우려개소에 대한 영상감지 시스템 및 낙석방호시설 설치
-
교량유도상화(통수단면 확장) - 하천 통수단면 부족
-
교량유도상화(통수단면 확장) - 형하고 상승을 통한 통수단면 확보
-
교량기초보강(세굴방지공)
-
사면 옹벽 보강
-
낙석방지시설 설치
-
낙석 영상감지 시스템 설치 - 딥러닝을 통한 낙석 감지
-
낙석 영상감지 시스템 설치 - 영상감지시스템 개요도
- CCTV, 적외선 투광기, 현장PC, LTE라우터가 25m의 감시구역을 감시한다.
- CCTV, 적외선 투광기, 현장PC, LTE라우터는 열차 네비게이션, 인접역, 시설관리자핸드폰, 필요시 인터넷PC로 현장 영상 확인과 연결되어있다.
재해예방시스템 구축
철도기상정보 시스템
- 내부 인트라넷 및 스마트폰을 통한 운행선 구간 실시간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악천후 발생시 신속한 대응
-
철도기상정보시스템 - 내부화면
-
철도기상정보시스템 – 스마트폰
- 한국지도에 각종 기상정보가 표시되어있다.
- 스마트폰 사진 안의 한국지도에 각종 기상정보가 표시되어있다.
지능형 낙석감지시스템
- 선로 내 낙석발생을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영상감시시스템 설치 운영
-
지능형 낙석감지시스템 설치
-
지능형 낙석감지시스템 점검
- 선로 옆 신호등 기둥에 작업자가 지능형 낙석감지 시스템을 설치하고있다.
- 작업자가 기계장치를 손에 들고 서서 바라보고있다.